본문 바로가기

중동 관련 기사 2010.2.~

독재·경제난 닮은꼴 … 번지는 민주화 불길

독재·경제난 닮은꼴 … 번지는 민주화 불길

ㆍ아랍권에 정의·자유 위한 ‘범아랍주의’ 부활
ㆍ과거와 달리 시민들 중심, 각국 시위대들 강한 연대감… 인터넷 이용 정보 전달도
예멘서도 “32년 집권 대통령 물러나라” 예멘 여성들이 13일 수도 사나에서 열린 반정부 시위에 동참하고 있다. 이날 2000여명의 시위대는 32년간 집권해온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사흘째 이어갔다. 사나 | AFP연합뉴스


튀니지에 이어 이집트에서 장기독재자를 내쫓는 데 성공함에 따라 아랍권의 반정부 시위가 강한 추동력을 얻고 있다. 팔레스타인계 미국인 중동전문가 라미스 앤도니는 11일자 알자지라 기고문에서 이를 ‘범아랍주의의 부활’이라고 명명했다. 

20세기 서구 제국주의에 맞서기 위해 뭉쳤던 범아랍주의와는 달리 사회정의와 자유를 위한 투쟁에 기반을 둔 새로운 범아랍주의가 아랍권 전체에 민주화의 모래폭풍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언어와 문화, 민족적 동일성에 더해 빵(민생경제난)과 압제라는 공동의 적을 두고 있는 아랍권 국민들 사이에 강한 전염성이 뚜렷한 현상으로 읽힌다는 말이다.

실제로 카이로의 승리를 아랍권 국가들의 민주화 세력들은 이집트가 범아랍권의 민주화를 위한 맹주이자 통합자로서 기능하게 될 것을 열망하고 있다고 앤도니는 분석했다. 1950~60년대 이집트는 범아랍주의를 기반으로 아랍권 통합을 추진했었다.


애초 범아랍주의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와 1948년 이스라엘 건국에 대항하기 위해 제기된 것과는 달리 새로운 범아랍주의는 아랍권 전역에 뿌리박고 있는 독재와 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최근의 민주화 바람이 편협한 민족주의를 초월해 인간해방의 정신에 기반을 두고 진행된다는 해석이다. 

각국 시위대가 강한 연대감을 확인하고 있는 것도 정치 엘리트들의 공허한 구호에 그쳤던 과거 범아랍주의와는 다른 특징이다. 가말 압델 나세르 전 대통령을 비롯해 정치 엘리트들이 강한 리더십으로 이끌었던 범아랍주의와 달리 신아랍주의는 휴대전화와 페이스북 등 인터넷을 통해 수평적으로 전파되고 있다.

실제로 튀니지와 이집트의 잇단 성공은 알제리와 예멘 등 여타 아랍권으로 급속히 번지고 있다. 알제리 수도 알제에서는 12일 시위대 수천명이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알제리 정부는 사이드 사디 문화민주집회(RCD) 대표를 비롯한 야권인사들도 참석한 이날 집회를 알제리 정부가 강제진압하면서 400여명을 연행했다. 시위대가 페이스북과 휴대전화 등을 시위에 이용하자 정부는 서둘러 인터넷을 차단했다. 예멘에서도 13일 수도 사나에서 수천명이 모인 가운데 78년부터 집권해온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사흘째 벌어졌다.

비아랍권인 이란에도 반정부 시위 불길이 옮겨붙을 조짐이다. 13일 알자지라 방송에 따르면 이란 야권 단체 ‘녹색운동’은 14일 전국적인 반정부 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회원 수 4만3000명인 한 야권의 페이스북 페이지는 14일이 이란의 자유를 위한 밸런타인데이가 될 것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당초 아랍권의 민주화 시위가 이슬람혁명으로 비화하기를 기대하면서 강 건너 불 보듯 하던 이란 당국도 ‘발등의 불’로 발전하지 않도록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정치활동이 금지돼 있는 절대왕정 국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민주화 세력이 최초의 정당인 이슬라믹 움마를 만들었다고 13일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요르단에서는 지난 1일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이 내각을 해산한 뒤 시위는 소강 국면에 접어든 상황이다.

아랍권의 반정부 시위 동기가 빵과 민주주의인 만큼 식량가격 인상을 비롯한 민생고를 겪고 있는 비아랍권에도 상당한 전파력을 가질 것으로 관측된다.

▲ 범아랍주의

아랍 민족과 국가들의 통합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1952년 이집트에서 파루크 왕을 몰아내고 공화정을 수립한 가말 압델 나세르 전 이집트 대통령에 의해 제창됐다. 시리아가 통일된 아랍공화국 건설을 추진한 나세르의 뜻에 공감하면서 58년 시리아와 이집트가 통일아랍공화국을 세워 3년 동안 지속된 바 있다.


<김기범 기자>